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'23.3.2(목) 파이썬 기초 자료형 <4 : 숫자형, 문자형>
    코딩/파이썬 2023. 3. 2. 14:36

    <숫자형 사용법>
     - 파이썬 모든 자료형
     - 데이터 타입 선언
     - 연산자 활용
     - 형 변환
     - 외부 모듈 사용 

    # 파이썬 지원 자료형
    '''
    int  :정수
    float :실수
    complex : 복소수
    bool : 불린 (참과 거짓)
    str : 문자열(시퀀스)
    list : 리스트(시퀀스)
    tuple : 튜플(시퀀스)
    set : 집합
    dict : 사전
    ''' 

    list = [ str1, str2] 
    dict = { 
      "name : "CHOI JIEUN",
      "age" : 25
    }
    tuple = (7, 5)
    set = {7, 5}

    # 숫자형 연산자
    '''
    / 나누기
    // 몫
    % 나머지
    abs(x) : 절대값
    pow(x,y) x**y
    a, b = divmod(x,y) x/y의 몫, x/y의 나머지
    '''

    <형 변환 실습>
    a = 3.
    b = 6
    c = .7
    d = 12.7

    - print(type(a), type(b), type(c), type(d))
     >> <class 'float'>  <class 'int'> <class 'float'> <class 'float'>

    - print(int(??))
    - print(float(??))
    - print(complex(???))

    - print(int(True)) # True : 1 False : 0
     >>> 1 

    - x, y = divmod(100,8)
    - print(x,y)
     >> 12 4

    - print(pow(5,3))
     >> 125

    <외부 모듈>
    import match


    <문자형 사용법>

    #문자열 표현
    str1 = " I am Python"
    str2 = ' Python'
    str3 = '''Thank you'''

    #문자열 길이
    print(len(str1), len(str2), len(str3))
     >> 11 6 12

    # 빈 문자열 생성 방법
    str1_t1 = ''
    str2_t2 = str()

    # 이스케이프 문자열
    print("I'm Boy")
     >> I'm Boy
    print('I\'m Boy')
     >> I'm Boy

    # Row String .. 역슬러시를 있는 그대로 표현
    raw_s1 = r'D:\Python\test'
    print(raw_s1)
     >> D:\Python\test

    #멀티라인 입력
    multi_s1  = \
    '''
    문자열
    멀티라인 입력
    테스트
    '''
    ※ 멀티라인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역슬러시(\)를 해줘야 오류가 없음

    #문자열 연산 (중요)
    str_o1 = 'python'
    str_o2 = 'Apple'
    str_o3 = 'How are you doing'
    str_o4 = 'Seoul Deajeon Busan Jinju'

    print('y' in str_o1) # 'y'의 포함 여부
     >> True #1
    print('P' not in str_o2) #대소문자 구분됨
     >> True #1 

    #문자열 함수(upper, isalnum, count, endwith, isalpha ...)
    print('Capitalize : ', str_o1.capitalize())
     >> Capitalize : Python # 맨 앞글자 대문자로 출력됨

    print('endwith : ', str_o2.endwith('e'))
     >> endwith :True  # 맨 뒷글자에 'e'가 있는지

    print('replace : ', str_o1.replace('thon', ' good'))
     >>replace : py good  #'thon' 부분을 'good'로 변경해줌 

    print('sorted : ', sorted(str_o1))
     >>['p', 'h'...] 

    print('split : ', str_o4.split(' '))
     >> ['Seoul', 'Deajeon', 'Busan', 'Jinju']

    #반복(시퀀스)
    im_str = 'Good Boy!'
    print(dir(im_str)) #__iter__ 는 시퀀스를 반복할 수 있음

    for i in im_str:
      print(i)

    >>
    G 
    o
    o
    ...

    # 슬라이싱 연습 (가장 중요함)
    str_s1 = 'Nice Python'
    print(len(str_s1)
     >> 11

    print(str_s1[0:3]) #0부터 3-1까지만 나옴 
    print(str_s1[5:] #5부터 끝까지
    print(str_s1[:len(str_s1)] #[:11] 처음부터 끝까지
    print(str_s1[::2]) #처음부터 끝까지 2칸씩 띄어서 가져옴


     #아스키 코드(또는 유니코드)
    a = 'z'

    print(ord(a))
     >> 122
    print(chr(122))
     >> z
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